생활꿀팁&비교꿀팁 / / 2023. 7. 7. 16:12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알파 / 삼성BESPOKE 큐브™ Air(106, 53+53 ㎡) 둘 중 무엇이 우리집에 어울릴까?

목차

     

    구매 전 공기청정기 비교해 보기

     

      LG 퓨리케어 삼성 BESPOKE 큐브
    공기청정 면적 109㎡ 106㎡
    소비전력 80W 80W
    가격 1,500,000 원대 1,350,000 원대

     

    공기청정기의 필요성

    미세먼지가 짙어지고 황사가 몰려오고, 공기의 질이 떨어지는 시기에 우리는 이제 공기청정기를 옆에 두고 사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성인은 비염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많이 찾지만 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필수의 요소가 됐습니다. 영유아기 아이들은 특히나 의사표현을 제대로 못하고 좋은 질의 공기를 마시며 성장해 나가야 하합니다. 그렇기에 어른들이 알아서 환경을 조절해줘야 합니다.

     

     

    공기청정기 어디까지 커버 가능한가?

     

    우선 수치상으로는 LG의 퓨리케어는 109㎡, 삼성의 비스포크 큐브는 106㎡입니다. 1㎡는 가로 세로가 1m인 면적을 의미합니다.

     

    아파트의 크기를 보면 59㎡, 85㎡ 104㎡로 구분이 되는데 아마 수치로는 다 커버가 가능하겠지만 아파트의 구조상 방이 있기 때문에 거실만 커버가 가능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공기청정기 구매의 기준점 흡입 방향은?

     

    삼성 비스포크 큐브는 흡입의 방향이 5 way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5개의 방향에서 흡입이 이루어집니다. 육면체라는 것을 생각하면 바닥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흡입을 하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반면 LG퓨리케어는 제품명에 360˚라는 글자가 붙습니다. 퓨리케어는 전반향에서 흡입을 합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LG의 퓨리케어에 좀 더 구매의 관심이 생깁니다.

     

    필터의 생김새를 보시면 삼성의 비스포크 큐브는 우리가 알고 있는 사각형입니다. 흡입을 하면 필터를 거쳐야 하고 그렇기 때문에 흡입의 방향이 제한적입니다.

     

    LG의 퓨리케어는 필터가 동그란 도넛 모양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방향에서 흡입이 가능합니다.

     

     

    두 제품의 흡입 이후 배출의 방향은?

     

    흡입만 잘하면 공기청정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겠죠. 흡입 이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을 잘해야겟죠. 

     

    삼성의 비스포크 큐브의 경우 3 way의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합니다. 디자인에 의해 배출의 제한이 있어 흡입에 좀 더 중점을 두고 배출의 방향을 좀 더 줄인 것 같습니다.

     

    LG의 퓨리케어는 공기 청정기의 디자인이 원탑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디자인의 특징점으로 흡입과 배출이 자유롭습니다. 흡입을 전방향에서 했다면 배출 또한 전방향으로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흡입과 배출에 있어서는 LG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하지만 이걸로만 구매를 결정짓기에는 조금 이른 감이 있습니다. 삼성은 에어컨 때부터 밀고 있는 무풍의 시스템을 공기청정긱에도 도입했습니다.

     

    가끔 공기 청정기 옆에 있으면 날아오는 바람에 불편함을 느끼기도 하는데요. 삼성의 경우 이점을 캐치하고 무풍의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반려동물을 위한 구매를 하시는 분들은?

     

    LG의 시점은 반려 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가 많아짐에 이에 맞춰 상품을 내놓았습니다. 삼성 비스포크 큐브에는 펫모드가 없습니다.

     

    펫모드란 더 강력한 흡입과 배출로 정화를 하는 건데요. LG 퓨리케어는 이 모드가 존재하며 이 모드를 위한 필터 또한 따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필터 교체를 통하여 아이와 반려동물이 함께 생활하는 가정이라면 더더욱 이 기능 있는 공기청정기를 필요로 하실 겁니다.

     

     

    공기청정기 구매 이후 유지관리 필수인 필터는 살균 기능은?

     

    삼성 비스포크 큐브는 UV LED 살균을 팬에 적용시켰습니다. 상시 작동 시 팬 가장자리에 UV LED의 살균 기능이 작용하여 여 배출하는 바람에 있어 99.9% 살균된 공기가 배출됩니다.

     

    LG퓨리케어 같은 경우도 UV 살균을 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시스템입니다. 각 팬 만다 UV nano 살균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살균의 기능은 두 제 품 모두 동일하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하지만 유지관리에 있어 조금의 차이가 있습니다.

     

    삼성 비스포크 큐브의 필터 교체 권장 기한은 6개월로 권장을 하고 있습니다.

     

    반면 LG퓨리케어의 필터는 햇빛이나 형광등에 노출을 시키면 탈취 성능이 살아나는 광촉매 필터를 사용하고 이 필터의 겉면은 부착형 극세사 필터가 존재하여 관리 시 분리하여 털어내시기만 하면 됩니다.

     

     

    구매의 기준 소비전력=전기세

     

    두 제품 모두 소비전력은 80W입니다. 그렇다면 24시간 내내 작동시키면 전기세는 얼마나 나올까요? 

     

    24시간을 돌린다는 가정하에 월간 사용량은 57 kwh입니다. 그리고 이 사용량을 전기세로 계산하면 9,710원이 달마다 나온다고 할 수 있습니다.

     

     

    두 제품을 비교해 보았는데요. 공기 청정기 언젠가 우리에게 필수의 제품이 되어버린 지금입니다. 공기의 질이 나빠진 것은 씁쓸하지만 이 환경을 해쳐나가기 위해 또 우리의 기술을 이용하는 시점입니다.

     

    제품 비교 꼼꼼히 하시고 구매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다른 가전제품이 궁금하시다면?

     

    LG TV OLED/QNED 차이점 비교해보고 고르기

    LG TV OLED/QNED 무엇이 다를까? LG TV OLED/QNED 무엇이 다를까요? 똑같은 LG에서 나오는 제품인데도 모르는 사람이 들으면 이것이 삼성제품인지 엘지 제품인지 분간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우선 OLED와 QN

    pum08.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