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꿀팁&비교꿀팁 / / 2023. 6. 4. 22:57

집안에서 인터넷으로 [병적 증명서] 발급받기(취직시 필요 제출서류)

집안에서 인터넷으로 병적증명서 발급받기

이번에는 인터넷으로 병적 증명서 발급받기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병적 증명서란 무엇일까요?

처음 '병적 증명서'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는 이게 어떤 문서이지?라는 생각을 가장 먼저 하실 수도 있습니다.(처음 저는 이 단어를 들었을 때 제가 앓았던 병의 목록을 병원에서 발급받는 줄 알았습니다.)

 

 

 

'병적 증명서' 이것을 좀더 익숙한 단어로 변형시켜보자면 아마도 '병역 증명서'로 얘기할 수 있을 듯합니다.

 

 

즉, 병적 증명서는 국내에서 군대에 복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들이 군복무 경력을 증명하는 공식 문서입니다. 병적증명서는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발급하며, 해당 개인이 군 복무를 하였는지, 만기 전역 또는 탈락 여부, 군 병원 입원 경력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일부 직장이나 공공기관에서 취업 시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으며, 학교 등에서도 증명서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병적 증명서의 발급은 국방부이지만, 이 역시 편의를 위해 각 지자체 동사무소에 위임을 하고 발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되어있는데요. 동사무소에 직접 가지 않고 인터넷을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검색 포털사이트(네이버. 다음. 구글 등..)에서 병적증명서 인터넷 발급이라고 쳐서 바로 들어가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같이 보이스피싱이 만연하고 개인정보 도용이 밥 먹듯 하는 시대에 바로 링크를 타고 들어간다는 게 뭔가 께름찍하실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그래서 처음 사이트 검색부터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네이버. 다음. 구글 등..) '정부 24'라고 검색을 합니다.

 

 

'정부 24'란 소개에서 보실 수 있는 것처럼 정보의 서비스, 민원, 정책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입니다. 즉, 믿고 쓸 수 있는 사이트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부 24를 처음 들어가시게 되면 보이게 되는 화면입니다. 아래쪽을 보시면 이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목록들을 바로 갈 수 있도록 모아놓았습니다. 이 중에서 병적 증명서 발급은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시다 보면 보실 수가 있습니다.

 

 

화살표로 두 번을 넘기고 나시면 병적증명서 발급을 보실수가 있는데 이것을 클릭하여 병적증명서 받기를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병적증명서 발급을 누르시고 화면이 위와 같은 화면으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이제 화면에 발급을 누르시고 나명 병적 증명서 발급에 한걸음 다가가신 겁니다.

 

 

발급을 누르시고 나면 이제 본인 확인의 절차를 하셔야 하는데요. 인터넷에서의 본인 확인은 회원 가입도 있지만 공인인증서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지요.

 

 

 

(뒤에 필요하니 공인인증서는 필히 컴퓨터에 가지고 계시거나, 간편 인증을 하실줄 아시면 간편인증을 하시면 됩니다. 이과정이 번거로우시면 회원가입을 하셔도 무방합니다.)

 

 

이제 본인 인증이 끝나셨다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시는데요. 개인정보 수집 및 고유식별정보 수집 이용 동의를 하셔야 발급이 가능하며 비회원 신청이기에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셔야 해요. 이것은 비회원으로 발급 신청하는 과정이기에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성명, 주민등록 기입 후 아래에 보이는 입력확인이 있는데요. 이것은 보안장치라 보시면 됩니다. 네모칸 안에 보이는 수자를 아래칸에 기입하시면 되는데요. 잘 안보이신다 하면 당황하지 마시고 새로고침을 누르시면 다른 숫자를 보실 수가 있습니다. 지금 화면에 보이는 숫자는 393424네요. 이것을 아래에 기입하고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후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시면, 병적증명서 발급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앞서 정보는 비회원이었기에 작성하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발급받기 위한 정보를 정부 24에 기입을 하는 건데요

이것은 우리가 동사무소에 가서

"병적증명서!"라고 외치면 내 앞으로 딱 나오는 게 아니잖아요? 이름, 생년월일 등 자신의 신상 정보를 말하고 병적 증명서발급을 요구해야 하는 것인데, 이것을 컴퓨터로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성명, 생년월일, 휴대전화 번호, 주민등록상 주소를 모두 기입하시고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병적증명서 신청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기재 미기재를 고를 수 있는데요, 그 밖의 발급 요구사항을 제외하고는 필수 선택 사항이기에 모두 선택을 해주세요.

 

용도를 선택 시 많은 보기가 있습니다. 이곳에 자신이 내야 하는 용도가 없다 하더라도 당황하지 마시고 기타를 선택해 주시면 되니 걱정 마세요.

 

 

선택이 끝나셨으면, 화면의 밑으로 내리면 수령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는 인터넷으로 발급받기 위해 이 과정을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온라인 본인 발급을 선택을 해주세요.

 

 

마지막으로 민원 신청하기를 누르시면 본인 인증 절차가 남았는데요.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본인 인증에는 공인 인증서를 필요로 합니다.

 

 

 

(은행 업무를 보실 때 쓰셨던 공인인증서를 쓰시면 됩니다.) 혹은 간편 인증을 하실분들은 간편인증을 하시면 됩니다.

 

 

 

이제 마지막 출력 전 화면인데요. 화면에 보이시는 문서 출력을 누르시면

 

 

출력하실 수 있는 화면을 넘어가게 됩니다. 이후 우측 상단에 인쇄를 누르시면 인쇄를 하실 수 있습니다.

 

 

* PDF 파일로 변환하시고 싶은 분들은 프린터 선택 화면에서 Microsoft Print to PDF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것은 컴퓨터마다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